진짜 하루만에 이해하는 정유·석유화학 산업
나무만 봐서는 답이 나오지 않습니다. 이는 마치 세계 지도가 있으면 각 나라별 관계와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세계 지도가 없으면 나라별로 아무리 공부해도 전체적인 개념이 잡히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진짜 하루만에 이해하는 정유ㆍ석유화학 산업』은 이러한 기획 의도 아래 탄생했습니다. 비전공자도 산업의 큰 그림과 핵심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어려운 용어들을 과감히 배제하고, 다양한 예시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최대한 쉽게 풀어서 썼습니다. 이 책
저자
배진영, 라병호
출판
티더블유아이지
출판일
2024.03.06

 

작년에 진짜 하루만에 이해하는 반도체 산업을 재미있게 읽었다. 다른 분야도 이런 책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정유, 석유화학 산업과  제약 바이오 산업 시리즈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마침 도서관에 정유 석유화학 편이 있어서 읽게 되었다. 

 

저자는 성균관대 화학공학, 고분자공학과 교수 배진영 씨이다. 유튜브도 하고 계신다. 책은 배진영 씨와 그의 대학원생 제자 라병호 씨가 같이 지었다. 슬프게도(?) 유튜브는 사람들이 별로 보지 않는 것 같다. 아무래도 정유, 석유화학 산업을 접하는데 벽이 높고,

영상도 해당 분야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관심을 가지고 이해할 수 있게 3blue1brown 처럼 만들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서 조회수가 낮은 것 같다.  

 

https://www.youtube.com/@professorbae

 

플라스틱 읽어주는 배진영 교수님

안녕하세요.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교수 배진영입니다. '화학', '고분자' 벌써 생소함과 어려움이 느껴집니다. 하지만 '플라스틱'은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우리생활에 너무나 친

www.youtube.com

 

 

책은 총 7개의 Part로 이루어져 있다. Part1 원유, 구석구석 살펴보기, Part2 정유 산업을 이해하기 위한 화학 기초, Part3 정유 산업 한눈에 이해하기, Part4 정유기업 정리 & 나아가는 방향, Part5 석유화학 산업을 이해하기 위한 화학 기초, Part6 석유화학 산업 한눈에 이해하기, Part7 석유화학 기업 정리 &나아가는 방향으로 구성된다. 

 

Part1 원유, 구석구석 살펴보기에서는 원유의 생성과정, 추출 방법, 원유 매장량이 많은 국가, 원유의 종류(셰일 가스)와 가격에 대해서 다룬다. 

Part2 정유 산업을 이해하기 위한 화학 기초에서는 분자식, 혼합물, 상평형등 중, 고등학교 때 배우는 화학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Part3 정유 산업 한눈에 이해하기에서는 원유가 중동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길과 시간, 분별 증류와 전환 공정에 대해서 다룬다. 

분별 증류 과정에서는 LPG, 휘발유, 나프타, 등유, 경유, 중유가 각각 몇 도에서 분류되는지, 어디에 사용되는지 알려준다. 

전환 공정에서는 탄화수소의 종류를 파라핀계, 올레핀계, 나프텐계, 방향족계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열분해, 접촉 분해를 소개한 뒤 고도화 공정(탈황)과 혼합 공정을 설명하고 Part3가 마무리된다. 

 

Part4 정유기업 정리 & 나아가는 방향에서는 한국 최초의 정유사 SK 이노베이션부터 아람코 자회사인 에스오일, GS 칼텍스, HD 현대 오일뱅크등 우리가 가는 주유소 회사들을 소개한다. 

 

Part5 석유화학 산업을 이해하기 위한 화학 기초에서는 연금술부터 시작하는 화학의 역사부터 근대 화학과 유기화학, 무기화학을 빠르게 설명한다. 끝 부부에는 고분자가 무엇인지 간략하게 설명한다. 

 

Part6 석유화학 산업 한눈에 이해하기에서는 NCC(Naptha cracking center)와 기초 유분을 소개한다. NCC의 열분해 공정, 급랭 공정, 압축 공정, 정제 공정을 설명한 뒤 기초 유분들(에틸렌, 프로필렌...)과 중간 원료들 스티렌, 이염화에틸렌 & 염화비닐도 다룬다.

합성수지(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합성 섬유(레이온...)와 합성 고무(스티렌부타디엔)에 대해서 소개한 뒤 Part6가 끝나는데 너무 생소한 물질들이 많아서 솔직히 머리가 뒤죽박죽 하다. 특히 이름도 되게 길고 비슷한 애들이 많아서 뇌가 분류를 잘하지 못하는 것 같았다. 

 

Part7 석유화학 기업 정리 &나아가는 방향에서는 기초 유분의 시장 선두인 LG화학, 롯데케미칼을 시작으로 한화 솔루션, 코오롱플라스틱, 국도화학, 금호석유화학 등 다양한 국내외 기업들에 대해서 소개한다. 정유 회사들이 석유화학 분야로 진출함에 따라서 기존 석유화학 회사들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설명하면서 책이 끝난다.

 

나는 Part6부터는 솔직히 잘 이해를 못 한 것 같다. 너무 내용이 많고 유, 무기화학을 배운 적이 없다면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내용들이 많았다. 개인적으로 정유 산업을 소개하는 Part1~ Part4는 정말 재미있게 읽었다.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외하면 생각보다 중동에서 석유가 매장되어 있는 국가가 별로 없다는 것과 미국이 석유 매장량이 상당히 많다는 것을 이 책을 보면서 알았다.

도대체 누가 원유를 증류하고 남은 찌꺼기로 비닐을 만들 생각을 했을까? 인류는 참 대단한 것 같다.  

 

화학, 정유 산업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책에서 고급 휘발유와 일반 휘발유가 무엇이 다른지, 옥탄가가 무엇인지도 알려준다. 특히 외제차(Porsche, BMW, Mercedes-Benz, Rolls Royce)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꼭 읽어봤으면 좋겠다. 참고로 외제차들은 대부분 고급 휘발유를 주유한다. 

 

나는 하루만에 이해하는 반도체 산업이 조금 더 재미있었다. 아무래도 전자공학 전공자는 아니지만 머릿속에 아무것도 없는 화학과는 달리 그래도 조금이라도 어디선가 들은 지식이 있어서 그런 것 같다. 다음에는 진짜 하루만에 마지막 시리즈인 제약 바이오 산업도 읽어봐야겠다. 

 

 
진짜 하루만에 이해하는 반도체 산업
못한 채 나무만 봐서는 답이 나오지 않습니다. 이는 마치 세계 지도가 있으면 각 나라별 관계와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세계 지도가 없으면 나라별로 아무리 공부해도 전체적인 개념이 잡히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진짜 하루만에 이해하는 반도체 산업』은 이러한 기획 의도 아래 탄생했습니다. 반도체 산업을 처음 접하는 비전공자를 위해 어려운 공학 용어들을 과감히 배제하고, 다양한 예시와 실제 사례를 통해 산업의 큰 그림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
저자
박진성
출판
티더블유아이지
출판일
2023.02.06

 

 

 
진짜 하루만에 이해하는 제약·바이오 산업
알지 못한 채 나무만 봐서는 답이 나오지 않습니다. 이는 마치 세계 지도가 있으면 나라별 관계와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세계 지도가 없으면 나라별로 아무리 공부해도 전체적인 개념이 잡히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진짜 하루만에 이해하는 제약·바이오 산업』은 이러한 기획 의도 아래 탄생했습니다. 비전공자도 산업의 큰 그림과 핵심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예시와 풍부한 일러스트를 활용해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했습니다. 이 책이 정책가에게는 정책
저자
강하나
출판
티더블유아이지
출판일
2024.11.01

+ Recent posts